3. 3.(금) 학급살이 기록(4)
저는 현장 전문성 신장을 위해 제 관심 분야인 ‘게이미피케이션’에 대해 연구 및 실천을 하고 있습니다. 교육청 주관 교육연구회도 운영중이며 작년에는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정 우수연구회에 선정될 정도로 많은 선생님들과 방과후 열심히 연구 및 실천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우리 오이반에서도 앞으로 꾸준히 게임을 활용한 교육을 이끌어나갈 예정입니다.
게이미피케이션이란 게임이 아닌 분야에 게임의 요소를 접목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일상적인 예로, 스타벅스의 별 적립, 대학 등의 기부금 리더보드, 등산의 정상에서 찍어주는 스탬프 북 등이 일상 생활의 게이미피케이션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교육 중 보드게임이라는 기물을 활용하는 해석적 교육 방식을 채택합니다.
이제 사춘기에 접어드는 우리 초록이들의 중요한 ‘가치’는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탐색, 심화시키기 위해 <Mayfly>라는 보드게임을 활용하였습니다.
<Mayfly>는 하루살이라는 의미로 하루살이의 삶처럼 게임 한 판으로 우리의 인생을 살아본다는 의미가 있는 게임입니다. 경희대 김상균 교수가 만든 게임인데요. 김상균 교수는 ‘가치’를 이끌어낼 수 있는 게임들을 많이 만듭니다.
<Mayfly>에는 25가지의 가치가 나옵니다. 삶을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가치들입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추구할 경우 비난을 받기도, 균형있는 삶을 살아가기 어려운 가치들도 포함되어 있지요.
게임을 시작하기 전 우리 초록이들이 어떤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지 가치 3가지와 이유를 써보게 하였습니다. 주로 나오는 것은 돈, 가족, 친구입니다. 막연히 물질적인 가치를 추구한다고 보기는 어렵고, 그냥 단순하게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이니까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맥락이 많습니다.
이 부분이 포인트입니다. 우리 아이들은 생각보다 내가 어떤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고 살아가는지 잘 모릅니다. 고민할 기회도 없었을뿐더러, 제대로 가르쳐 주는 사람도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 게임을 통해 아이들은 짧게나마 고민할 시간을 가지게 됩니다.
생명과 가치 사이의 갈등.
삶의 불공정함.
내가 원하는 가치를 얻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것들.
내가 원하는 가치를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점 등
태어나면서부터 원하는 것을 다 가지고 태어날 수는 없지요. 물론 다 갖고 태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이처럼 탄생의 의미로 랜덤하게 가치 카드를 부여합니다.
이후 성장하는 과정에서 지역 사회 속(작은 사회)에서의 노력 즉, 카드 교환이 이루어집니다. 작은 사회라는 의미로 모둠 내에서 교환이 이루어집니다. 카드를 교환할 때는 1:1 교환이 아닌 원하는 만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오직 한 가지 가치를 위해 모든 가치와 생명을 희생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일정 시간이 지나고 원하는 가치 교환이 끝난 상태가 오면 어른이 되어 큰 사회로 나아가는 것을 비유하여 우리반 전체 구성원끼리 교환이 이루어집니다.
여기서 재밌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작은 사회 속에서는 소극적이던 교환 방식이, 큰 사회로 나오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습니다.
자신의 생명을 담보로 교환하거나,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주고 1장만 남기는 등의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 과정에서 내가 무엇을 진심으로 원하는지 드러나게 됩니다.
모든 교환이 끝나고 난 뒤 자리에 앉아 내가 모은 가치 카드를 중요한 순서대로 놓아봅니다. 이때 나의 핵심가치는 무엇인지 정교화되기 됩니다.
순서대로 놓은 뒤 아이들은 왜 내게 이 가치가 중요한지 이유를 적어보고 발표를 합니다. 다른 사람이 중요하게 여기는 핵심 가치, 이유를 듣고 자신도 돌아보게 됩니다.
모든 활동이 끝나고 아이들은 자신이 원하는 핵심 가치를 얻기 위해 2023년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적어보게 됩니다. 예를 들어 리더십을 핵심 가치로 생각하는 사람은 임원 선거에 도전을 한다던지, 지혜를 얻기 위해 매일 일정량의 독서를 한다던지 등이요.
활동지를 다 채운 뒤 게임 전과 후의 가치를 비교해보면 명확히 달라진 친구들도 있고, 더 확고해진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을 잘 캐치하여 학교에서도 가정에서도 아이들의 핵심 가치가 건강하게 자리잡고 길러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 부분임을 인지할 수 있게 됩니다.
'학급살이(2023)-5학년 2반 > 학급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6.(월) 책임의 별, 하루의 책임을 다하는 배움 노트 <하루담기> (0) | 2023.03.07 |
---|---|
3. 6.(월)-책임의 별, 학급 가이드라인 만들기 (0) | 2023.03.06 |
3. 3.(금) - 기쁨의 별, 우리반 반가 <잘 살고 있지롱-윤딴딴> (0) | 2023.03.06 |
3. 3.(금)-기쁨의 별, 우리반 상징 정하기 (0) | 2023.03.04 |
3. 2.(목)-개학일, 북두칠성 프로젝트 도입 (2) | 2023.03.04 |
댓글